용어
1cm 선량당량
|
(CLOB) 1 cm dose equibalent. 방사선피폭에 의한 암, 백혈병의 발병 및 유전적영향을 평가하는 기본량은 유효선량당량이지만, 그 값을 직접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피폭의 관리기준이 되는 양이 필요하게 된다. ICRU(국제방사선단위측정위원회)는 1 cm 선량당량을 제안했으며 일본을 포함하여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방사선관리상 가장 중요한 X-선 및 감마선을 인체조직이 받은 경우 피폭선량이 가장 높은 곳은 인체조직 표면이 아니고 인체조직 내부의 어느 깊이 부분이다. 1 cm 깊이의 피폭선량을 평가의 기준으로 하면 항상 유효선량당량보다 높은 값으로 되기 때문에 안전여유를 가지고 피폭관리를 할 수가 있다. 필름뱃지나 방사선관리용 서베이미터 등은 이 양을 표시하도록 조정되어 있다. |
용어
1차냉각계통
|
Primary coolant system. 원자로의 노심에서 발생하는 열을 원자로냉각재로 제거하기 위한 폐회로로서 원자로를 포함한 냉각회로를 1차냉각계통이라 한다. 1차냉각계통 내를 흐르는 냉각재로서는 탄산가스, 헬륨가스 등의 기체, 경수, 중수 등의 액체, 고속로에서는 나트륨 등의 액체금속이 사용된다. 1차냉각계통은 배관, 밸브, 펌프 또는 송풍기와 유량계 등의 계장으로 구성되며, 원자로냉각재가 직접 노내 중성자에 쬐어 방사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자력시설 중에서 안전성, 내진성 등 가장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비등수형로(<a D=0026>BWR</a>)에서는 원자로냉각계통(reactor coolant system)이라고 부르고 있다. |
용어
1차냉각재
|
원자로를 직접 냉각하여 열을 끄집어 내는 데 사용하는 유체(원자로냉각재). 경수, 중수, 2산화탄소, 헬륨 또는 나트륨(액체)이 사용된다. 원자로 내를 흐르므로 중성자의 흡수가 적고 방사선에 의한 분해 등의 변질이 생기기 어려운 물질이 바람직 하다. 또 열을 효율적으로 끄집어 내기 위해 열전도도 및 비열이 높고 낮은 융점과 높은 비등점을 갖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열에 의한 분해, 부식성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제적으로 값이 싸고 작은 동력펌프능력으로 순환가능한 물질이 요구된다. 비등수형 원자로에서는 1차냉각재, 2차냉각재의 구별이 없으므로 원자로냉각재라고 부르고 있다. |
용어
1차냉각재펌프
|
Reactor coolant pump. 1차냉각재를 순환시키는 펌프. <a D=0467>증기발생기</a>를 통과한 1차냉각재는 루프시일이라고 부르는 배관의 수직하향부분을 지난 후 1차냉각재펌프에 의해 원자로용기로 되돌아온다. 1차냉각재펌프에는 누설제어축봉형의 전동기구동 세로설치 단단사류펌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a D=0221>1차냉각재</a>는 그 하부로부터 흡입된 후 임렐러에 의해 가압되어 디퓨저를 거쳐 측면에서 토출된다. 전원상실시에 노심에 충분한 냉각재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의 <a D=1778>코스트다운</a>이 길어지도록 1차냉각재펌프를 구동하는 전동기에는 플라이휠이 장착되어 있다. 원자로냉각재펌프라고도 부른다. <a D=0026>비등수형원자로</a>에서는 재순환펌프를 말한다.<p><img src=/atomica/img/term/F1876.gif> |
용어
1회 조사
|
(CLOB) 방사선치료에서 실시하는 1회의 조사를 말한다. <a D=0458>종양</a>의 제어선량이 주위의 정상조직의 내용선량보다 크기 때문에 통상적인 외부조사로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수술중 조사에서는 수술에 의하여 개복이나 개흉(開胸)하여 병소가 노출되었을 때, 직접 보면서 조사부위를 설정하고, 종양에 대선량을 조사하기 때문에 1회 조사로 될 수밖에 없게 된다. 기타 특수한 경우 외에는 실시하지 않는다. |
용어
2π 방출률
|
(CLOB) 2π release rate. 방사능의 세기를 측정하는 간편한 방법으로서 입방각 2π의 반구공간에서 단위시간당 방출되는 입자방사선의 선량률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방사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는 베크렐(또는 퀴리)이 사용되어야 하나 방사능측정법에서 입체각 2π의 공간으로 방출되는 입자방사선을 측정할 때가 있으며 이 방법에 의한 계수치(2π 방출률)를 가지고 베크렐에 대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측정방법에서는 시료의 형상에 따른 기하학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용어
2동원체염색체(2動原染色?)
|
(CLOB) 두 개의 국재형(局在型) 동원체(동원체란 염색체의 방추사부착점을 말함)를 가진 염색체를 말한다. 그 생성원인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1) 두 개의 염색체사이에 동시에 절단이 일어나 동원체를 포함하는 염색체단편이 재융합해서 되는 경우로 체세포분열, 감수분열이 함께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2) 편동원체역위(偏動原 逆位)에서 역위부분에 교차가 일어나 생기는 경우는 감수분열에 한정된다. 2동원체 염색체는 보통 방사선에 의해서만 유발되는 <a D=0571>염색체이상</a>으로 그 자연발생률은 낮으며 또 식별도 용이하다. 따라서 방사선피폭의 생물학적 지표로서 말초 림프구에 유발되는 2동원체 염색체의 발생률이 이용된다. |
용어
2상류
|
물질이 취할 수 있는 고상(固相), 기상(氣相), 액상(液相)의 세 가지 상(상태) 중 두 가지 상이 혼합하여 흐르는 것. 고-액, 고-기, 기-액의 세 종류가 고려되는 데 원자력분야에서는 비등수형 원자로(<a D=0026>BWR</a>)의 노심과 가압수형 원자로(<a D=0141>PWR</a>)의 증기발생기에서 볼 수 있는 증기와 열수(熱水)가 혼합한 기액 2상류를 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상류 상태는 각 상의 속도, 기상의 존재비율(보이드율) 등에 의해 정해지며, 그 유동양식에는 기포류, 슬러그류, 환상류 등이 있다. 사고 시 원자로 안전성평가에서는 2상류의 전열유동 예측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자로 모의장치를 사용한 실험적 연구와 해석적 방법개발에 관한 연구가 광범위하고 대규모로 수행되고 있다. |
용어
2차 방사선
|
방사선원이 직접방출한 방사선(1차 방사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 방사선을 말한다. |
용어
3 mm 선량당량
|
(CLOB) 3 mm 선량당량은 신체조직 표면으로부터 3 mm 깊이의 선량당량을 말하며, 눈의 수정체 선량당량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베타선 또는 40 keV 미만의 에너지를 가지는 X선이나 γ선과 같이 투과력이 약한 방사선을 취급하는 경우에 3 mm 선량당량의 평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방사선작업종사자의 3 mm 선량당량의 측정평가는 법령으로 의무화되어 있으며, 보통 필름뱃지나 TLD 등의 개인피폭측정기를 이용해서 측정한다. |